메인 콘텐츠로 이동

DESIGN TREND

의료기기디자인 트렌드 리포트는 고디자인 연구소가 의료산업의 트렌드, 미래의료기기를 예측하여 시장조사 및 개발자료로 참고 할 수 있도록 2004년부터 매년 4월에 리포트형식으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2004년~2010년, 2012년~2019년, 2021년 현재)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개최되는 KIMES(국제의료기기 및 병원설비전시회)를 통하여 현장에서 느끼는 분위기와 참관 내용, 국내외 자료, 뉴스 기사를 조사하여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한 자료입니다. 국내 최대이자 국제적 규모의 전시회를 중심으로, 국산 의료기 및 글로벌 제품군과 국내외 메디컬트렌드의 데스크리서치 자료를 보강하여, 전문의료기기 분야, 병원설비 분야, 개인 및 홈케어, 헬스케어 분야, 바이오메디컬, 웰니스와 실버제품 분야 등의 현재와 근미래 시장동향을 예측의 시선으로 보았습니다.

의료산업을 비지니스 플렛폼으로 한 기업, 연구소, 병원, 학교 및 단체 관계자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2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22 바이오메디컬디바이스 디자인트렌드
2022 의료산업트렌드 / 2022-2023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거대한 가속‘ 속에서 10년 빨리 찾아온 미래를 직시하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우리는 혼란을 거쳐왔으며 헬스케어 분야의 디지털 전환 추세가 가속화된 가운데 올해는 AI, 빅데이터, 개인 맞춤형 유전자 검사 등이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을 주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위기 속에 기회가 있다’는 말이 있듯이 우리는 팬데믹으로 10년 빨리 찾아온 미래를 맞이 하고 있습니다. 위기는 기회가 될것이며 팬데믹의 교훈은 그 먹구름의 크기에 맞먹는 밝은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 전 세계가 헝거게임 같은 미래로 향할지, 아니면 더 밝은 쪽으로 향할지는 우리가 코로나 이후 어떤 세상을 택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2022~2023년 바이오메디컬디바이스 디자인의 흐름은, 가상현실과 메타버스 기반의 의료서비스의 진보와 원격진료 및 원격환자모니터링의 활용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활용 될 것입니다. 사용자의 미학적 방향은 단순하면서도 과거에 대한 지속적인 향수와 강렬하지만 부드러운 색상의 조화를 이루면서도 기본을 갖추기를 원합니다. 감성에 닿을 수 있는 빠르고 포괄적인 요구가 짙어질 것이며 진정한 편안함과 가치를 직시하는 트렌드로 지속될 것입니다.

2021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21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뉴노멀 시대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혼란을 피할 수 있는 Flexible & Adaptable design’ 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를 혼란에 빠트리게 한 동시에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준비를 하게 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찾아온 ‘뉴노멀 시대(New Normal)’는 현재의 위기에서 벗어나 숨은 기회를 잡아야 합니다. 미리 대응하고 빠르게 이해하는 기업만이 생존할 수 있습니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하며 혼란을 피할 수 있는 유연하고 적응가능한 디자인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2020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20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NOT ESTEBLISHED

2019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9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융복합 의료기기의 본격화로 인한 스마트하며 사용친화적인 디자인’입니다.
ICT기술, 신소재 등이 의료기기에 융합하여 새로운 의료기기와 의료서비스를 창출하고 있고, 로봇과 접목된 재활로봇, 로봇수술기는 정확한 시술과 안전한 의료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흐름은 의료기기산업의 고도화, 지능화, 효율화를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의료시장의 미래를 만들 것입니다. 의료기기 디자인트렌드는 의료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더 환자 친화적이며 의료진의 사용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직관적이며 스마트하고 고도화와 간결함을 강조하게 될 것입니다.

2018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8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맞춤화되는 의료서비스에 따라 감성과 경험을 고려한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입니다.
새로운 기술, 사용성, 미학성, 라이프스타일 4개의 축으로 세부 키워드가 요약되어 있습니다. ‘인간-동물-환경’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는 ‘One Health(원헬스)’개념의 강조에 따른 인간의 보건을 동물 및 환경과 연결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통합 대응체계 구축의 화두가 트렌드 5개중의 하나입니다.

2017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7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디지털화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친숙하고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 입니다.
‘새로운 기술과 디자인, 사용성, 미래의미학성, 건강라이프스타일’의 세부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올해의 디자인트렌드는 IT, NT, BT 등 타분야와의 접목을 통해 신개념 의료기기가 개발되어 첨단의료기술이 한층 더 범용화되었고, ‘공감’의 기술로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중시하는 감성적, 정서적 측면이 강조되는 등 총 5개의 동향을 예측하였습니다.

2016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6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첨단 기술에 의한 효율성 중시 반면, 소비자에게는 친근하고 단순함 추구’

2015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5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제품의 상용화 가능할 정도의 기술개발은 이루어졌으나, 소비자가 필요성을 느끼고 사용시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적으로 방법을 제시하여 제품을 R&D를 개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2014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4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사용자 분석을 통한 의사 환자 중심의 디자인 제안’, ‘제품 설치 환경에 맞는 색상과 디자인 제안’, ‘기업 이미지가 녹아 있는 디자인 제안’

2013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3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핵심키워드는 ‘소비자 중심’, ‘의료 산업 전반의 디자인 중요도 상승’, ‘자사 제품 아이덴티티 개발’

2012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2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핵심키워드는 ‘소비자 중심’, ‘미래지향적 디자인’, ‘브랜드 진화’’

2011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1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NOT ESTEBLISHED

2010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10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디자인의 가치가 높아지고 의료기와 일반 제품과의 분류가 점차 모호해짐에 따라 디자인경쟁이 점점 더 심화 될것으로 예상된다.’

2009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09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디자인은 시장 활동 개입에 따라 차별성 중심의 가치로, 기업의 브랜드 강화의 방향으로’

2008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08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2007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07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새로운 디자인스타일을 구현시키며 사용성과 기능성을 접목시킨 New Trend의 의료기기’

2006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06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2005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05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

2004 Medical Design Trend Report

2004 의료기기디자인트렌드 / 의료산업트렌드